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8

Github blog로 재오픈했습니다. NeatyNut's 기술 스토리 2024. 1. 21.
내가 이 분야에 뛰어들게 된 계기, 추구하는 바(아이펠 과정) 이 분야에 뛰어들게 된 계기, 추구하는 바 : 내가 선택했기 때문 이전 직장이 목동 또는 대치동과 같은 소위 부모님의 아우성이 시끄러운 지역에 있었습니다. 그 지역 아이들을 아르바이트생으로 써보면서 가끔 들었던 말이 있습니다. "가르쳐 주지 않았잖아요." 사교육을 인강을 포함해서 한번도 듣지 않았던 저에게 신기한 답변이었습니다. 찾아보다 몰라서 질문이 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배우지 않았다는 것에 짜증이 난 듯한 태도였던 것 같습니다. 사실 대부분의 것들은 인터넷 검색만으로 해결되거나 저 같은 경우, 질문을 장려했기 때문에 모르는 것에 대한 질의를 하고 답변을 받기만 하면 되는 부분이었기 때문입니다. 한편으로 정말 몇몇 애들이 수동적으로 컸구나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었습니다. 어릴 때 어머니가 데리고 가던.. 2024. 1. 13.
자격증 후기 - SQLD, 빅데이터분석기사 솔직히 다행이다.. Aiffel 과정과 같이 진행하느라 거의 제대로 공부하지 못했지만 그래도 운좋게 다 합격할 수 있었다. 그래도 하나같이 간신히 붙은 거보면 진짜 자격증 공부엔 난 약한거 맞는 거 같다. 아니 정확히는.. 여기에 열정을 엄청 쏟지도 않고, 시험장에서도 매번 실수하는 경향이 있는 듯 하다.ㅜㅠ 1. SQLD 후기 솔직히 빅데이터분석기사랑 일정이 너무 겹쳐 시험을 칠까 말까를 엄청고민하였다. SQL을 실제로 써본적도 없어서 일주일 남긴 시점 프로그래머스에 매달려 높은 수준의 문제를 풀며 준비했다. 솔직히 다른 블로그 글에서 보다시피, 엑셀에 대응한채 이해되어 빠르게 해나갈 수 있었다. 다행히도 해당 주가 Aiffel과정도 다소 익숙한 파이썬 주간이라 자습시간 동안 빠르게 쳐내고 그 시간에 .. 2023. 12. 27.
프로그래머스 후기(2023.12.27) - Python, SQL Python을 프로그래머스로 풀면서 많이 배우는 게 있는 것 같다. 그놈의 Pythoninc하다는 것이 무엇인 지와 알고리즘의 최적화가 무슨 의미인지 실제로 저 위의 "상담원 인원(정답률 10%)" 저놈의 문제는 코드만 세번 갈아엎었다. 처음엔 모든 케이스를 돌려보는 식으로 시작해서 마지막엔 변화사항만 체크하는 식으로 해나갔는 데.. 이제 또 푼지가 꽤 되어 왜 그렇게 했는지도 기억 안난다. 참으로 어렵다. 호기롭게 레벨 5도 도전해보는 데 너무 어렵다. 시간 날때 가끔 가서 풀어봐야겠다. 반면 Python과 달리 SQL은 참 풀만하다. 시간 날때 짬짬이 SQL을 풀어보았지만 Level 5라는 것이 Python만큼 어렵진 않고, Group by, join만으로 해결되는 것이 대부분이라 다행이면서도 아깝다.. 2023. 12. 27.